글쓴이 프로필 >>
하라다 토모키 原田 朋 (TBWA/HAKUHODO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http://www.dislab.jp/#/dna/tomoki.harada
1972년생. 하쿠호도에 입사한 후 카피라이터로 배치되었고, 2010년부터 TBWA/HAKUHODO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일하고 있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고단샤 <스티브 잡스 자서전 ‘모든 이의 책갈피.jp(みんなのしおり.jp)’>, 닛산자동차 JUKE <세상에서 가장 지루한 배너 광고>, 닛산자동차 NOTE <해상 발표회>, 기린음료 <녹차팬더선생 등장!> 등이다. 칸 사이버 부문 동상,TIAA 은상 등 수상경력이 다수 있으며, 2012년 Creator of the Year의 메달리스트이기도 하다.
===========================
이 칼럼에 대해서…>>
http://www.advertimes.com/author/harada_tomoki/
애플의 ‘Think Different.‘나, ‘1984‘ 등의 작품을 만든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리 클라우가 이끄는 로스앤젤레스의 에이전시 TBWA/CHIAT/DAY ( http://tbwachiatday.com/ )에, 2013년 4월부터 체재중인 그가 ‘전설’이 탄생하는 현장에서 일본의 크리에이티브를 강하게 만들 힌트를 찾는 내용이다.
===========================
리 클라우의 프로필 >> http://www.tbwa.com/lee-clow-1
Lee Clow https://twitter.com/leeclowsbeard
Global Director of Media Arts, TBWA/Worldwide
Chairman,TBWA/Media Arts Lab
리 클라우는 40년 가까이 광고를 만들었다. 그는 ‘브랜드가 해야 할 이야기를 하는 걸’ 사랑한다고 한다.
(* 올해 초, 그는 Chiat Day와 TBWA에서의 40번째 기념일을 맞았다. http://goo.gl/JrgiQR )
그는 광고는 아트, 즉 ‘미디어 아트’라고 믿는다. “무언가를 느끼게 해야 한다. 웃거나 울거나 놀라거나 알게 할 수 있어야 하며, 그 전에 꼭 보고 싶게 해야 한다.(It must make you feel something. It can make you laugh or cry or surprise you or inform you, but you must want to watch it.)”
애플의 맥킨토시를 소개한 광고 [1984]나, 계속 앞으로 가고 또 가는 (진격의) 에너자이저 토끼나, 세상을 리프레시하는 펩시나, 불가능한 건 없다는 아디다스 등 이 모든 프로젝트들은 사람들이 보고 싶어했다.
업계에서 그의 영향력을 보여줄 예시로 스티브 잡스와의 30년 간의 파트너십 만한 건 없을 것이다. 그들은 1997년 애플이 다시 태어날 때 유명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Think Different.]한 게 누군지 알 수 있도록 벽과 지면과 영상을 활용했다. 그리고 지난 수십년 동안 애플이 중심을 아이팟/아이튠즈로 옮길 때 ‘실루엣’ 캠페인을 함께 진행했고, 아이폰으로 휴대폰 카테고리를 재정의할 때에는 (아이패드로 새 카테고리에 진힙하기 전에) 10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한 캠페인인 [Mac vs PC]를 진행했다.
그는 재미있고 도전적인 사업을 계속 찾고 있다. 그는 광고 산업이 역대 가장 재미있는 시대의 초기에 있다고 믿는다. 많은 이들이 멀티미디어의 미래로 인한 도전에 대해 얘기할 때 그는 1960년대의 첫번째 크리에이티브 혁명을 상기시키는 크리에이티브의 최대 기회로 여겼다.
“오늘날, 모든 것이 미디어가 될 수 있다. 인터넷은 사람들이 브랜드와 인터랙션하는 방식을 바꿨다. 브랜드를 좋아한다면 이를 찾을 것이고, 브랜드를 싫어한다면 공개적으로 비판할 것이다. 따라서 브랜드가 어떤 것을 하든 차별화되고 예술적인 방법으로 스토리를 전해야 한다. 그럼 사람들은 그 브랜드를 좋아할지, 아님 무시할지를 정할 수 있을 것이다.”
TBWA에서 그가 가진 목표는 ‘모든 미디어의 아티스트가 되며, 브랜드가 세상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를 조정하고 재정의하는 에이전시’로 만드는 것이다.
그가 Chiat/Day에 입사했던 시기는 로스엔젤레스 중심가의 호텔에서 미약하게 시작했을 때였다. 이후로 이 에이전시는 세계 10대 글로벌 네트워크이자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가장 많이 수상한 에이전시 네트워크 중 하나가 될 정도로 성장했다.
One Club / Art Directors / Museum of Modern Art’s Advertising 명예의 전당의 회원이며, 클리오 광고제에서 공로상(Lifetime Achievement)을 수상하였다.
===========================
MIKA의 프롤로그 >>
먼저, 지난 [하버드 비지니스 리뷰 : 하쿠호도 케틀의 ‘광고는 변하는가?’] 연재글을 한글화하여 전하면서 많은 분들을 만날 수 있었고, 그 동안 내게 많은 변화가 일어나서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어느 날, 회사에서 강연을 해 주신 인연으로 페이스북 친구를 맺은 메타브랜딩의 박항기 사장님께서 [낯선 사람 효과]라는 책을 추천하는 포스팅을 올리셨다.
출근 길에 당장 구매해서 읽기 시작했는데, 여기에서는 우리나라처럼 자주 만나는 깊은 인연(강한 연결)이 아닌, 가끔 만나지만 알고는 지내는 사이 – ‘약한 연결’에 대해서 말하며, 서로가 필요하지만 지금까지 인연이 없었던 사람과 사람들을 이어주는 ‘슈퍼 커넥터’에 대해 말한다. 저자는 성공에 도움이 되었던 게 깊은 인연을 가진 이들보다 약한 연결에서 의외로 더 많았다는 것을 발견했던 것이다.
최근 프로필을 개인 용도로 사용하다가 최근에 좀더 적극적으로 국내외로 친구를 추가하기 시작했다. 페이스북을 쓴다는 것은 어느 시간대에 어디에 있든 글로벌으로 교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페이스북의 CCO 셰릴 샌드버그/AKQA의 창립자 아자즈 아메드와 친구를 맺고 있으며, 다른 나라의 크리에이터들과도 친구를 맺어 가끔 교류를 하고 있다. (아쉽게도 앞의 정말 유명하신 두 분은 직접 메신저로 대화를 나눈 적은 없다 -_-; )
이 글을 우연히 발견하고 번역하던 중에, 연재글을 쓴 하라다 씨에게 친구 신청을 하고, 페이스북으로 이 연재글들을 번역중이고 곧 블로그에서 공개할 예정이라고 고맙다는 인사를 전하자, 지금도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그가 우리 시간으로 어제 새벽 3시에 아래와 같은 메시지를 보내왔다.
“칼럼을 읽어주시고 번역도 하고 계시다니 감사합니다! 쓴 보람이 있네요. 일본 뿐만 아니라 한국 분들도 재미있게 읽어 주시면 정말 기쁘겠어요. 동아시아를 고조시킵시다. 저는 지금까지 기회가 없어서, 한국에 간 적이 없고, 한국어로 인사조차 못하지만, 한국과 일본도 크리에이터들이 더욱 많이 교류한다면 재미있을 거 같네요. 하쿠호도에도 한국 출신의 여성 카피라이터가 있습니다.”
아쉽게도 글로벌적으로 활약하는 아시아계의 광고인들 중에는 일본인이 대부분이다. 2014년 One Show Interactive의 심사위원장으로 AKQA의 CCO인 ‘이나모토 레이’ 씨가 임명되었다는 소식을 페이스북 친구를 통해 알게 되었다. 그 또한 이 광고제의 심사위원이 되면서, 그의 회사 직원이 그를 태깅해서 포스팅했던 것이다.
나는 일본어를 자연적으로 (일본 애니메이션과 일본 드라마를 보면서) 배울 수 있어서 일본 쪽과의 교류를 할 수 있었고, 지금은 영어를 배우면서 서툰 영어로나마 영어권 크리에이터들과 교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어제는 최근에 내가 페이스북 친구 신청을 했었던 AKQA 런던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가 내 얘길 들었는데, 어디서 들었는지 모르겠다며 메시지를 보내왔다.)
본문은 크리에이터들에게 인사이트와 영감을 주기 위해서 번역하고 있지만, (번역하며 국내외를 비교해 보니 참 재미있었다. ) 내가 직접 작성하고 있는 이 프롤로그는 편견 없는 유연한 사고과 글로벌적인 친화력으로 미래에 세계를 무대로 할 한국의 예비 프로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공짜로 고급 정보/지식이 개방되어 있는 학습의 도로가 펼쳐진 시대에 태어난 것을 축하한다.
* 번역하는 기사의 모든 내용이 반드시 내 의견과 일치하지는 않음을 미리 밝힌다.
===========================
- 출처 : AdverTimes (Japan) http://www.advertimes.com/20130322/article105357/
- 게재일 : 2013년 3월 22일
- 작성 : 하라다 토모키 原田 朋 (TBWA/HAKUHODO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http://www.dislab.jp/#/dna/tomoki.harada
- 한글화 : 강은진 Mika EunJin Kang https://alleciel.com/mika/
===========================
[2편 – 사무실이라기보단, 거대한 해적선. CHIAT/DAY의 사내엔 무엇이 있을까?]
[3편 – 전 세계의 크리에이터가 모인 로스앤젤레스에선 무엇을 하고 있을까?]
————————————————
[내일 출발]
지금 나는 여행 가방에 되도록 책을 많이 넣고 있다. 지금까지는 손을 뻗으면 그 곳에 있던 자료가 없다니, 불안하다. 책 뿐만 아니라, 원래 지금까지 가꿔왔던 인간관계와 나름대로의 위치나 카피라이터로서의 일본어 능력도 모두 두고 가는 셈이니, 가면 아무것도 못한다는 것이며, 분명 신입 시절에 느꼈던 무력함을 40대가 되어 다시 한번 맛보게 되리라.
(과장스럽게 말하면) 그런 공포심이 들지 않는 건 아니다. 하지만 그렇기에 나는 지금 두근두근하다. 두려움을 느끼지 않으면 그걸 뛰어넘었을 때의 두근거림도 없다. 생각해 보면 크리에이터의 필요 조건은 클라이언트/소비자/세상 누구보다도 두근두근해야 하는 게 아닐까.
공포심에 져서 두근거림을 포기할 순 없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말 중 하나는 알렉스 보거스키의 “두려움은 크리에이티비티/혁신/행복/사랑의 적이다.(Fear is the enemy of creativity, innovation, happiness and love.)”이다. 우리는 종종 이런 공포심에 져서 소중한 것 놓치곤 한다.
————————————————
[광고는 두근거리고 있는가?]
지난 몇 년 간 광고 산업이 고도로 성숙된 시기에 접어들어서인지, 공격수여야 할 우리 자신이 새로움에 두근거림을 느끼기 어려워지지 않았나…하고 개인적으로 생각해왔다.
크리에이티브는 작업 프로세스를 개선하거나 시스템화하는 것만으로는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 없기 때문에, 이는 치명적이다. 각각의 크리에이터 자신이 두근거림을 느낌으로서 좋은 결과물이 탄생한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내 해답은 ‘망설여진다면, 두근거리는 쪽으로 향하는’ 것이었다.
좀 더 명확히 얘기하면 ‘더 무서운 곳으로’이다. 해본 적 없는 일, 본 적 없는 것, 만난 적 없는 사람, 해본 적 없는 말, 그 속으로 뛰어 들어서 자신 속에 잠든 두근거림을 깨우는 것이다. 즉 지금까지의자신을 깨부수는 쾌감, 지금까지의 자신을 무너뜨릴 두근거림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
[Disruption(파괴)하는 광고회사?]
나는 2010년에 하쿠호도에서 TBWA/HAKUHODO로 이직했다. 여기서 알게 된 말이 “Disruption (창조적인 파괴)”이다. TBWA 그룹의 이념은 ‘파괴’라고 한다. 즉 파괴 활동을 하는 회사랄까, 좀 여봐란 듯 하지만, 상당히 멋지다고 생각했다.
아무리 좋은 브랜드라고, 신선함을 잃고, 빛을 읽을 때가 온다. 그러므로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해 ‘창조적인 파괴’를 하고, 변화되어 강력한 브랜드로 바꾼다는 사고 방식이다. (상당히 내 개인적인 해석이 들어가 있다.)
쉽게 와닿을 수 있었던 이유는 이게 브랜드에 대한 얘기일 뿐만 아니라, 인생론으로 들렸기 때문이다. ‘막히는 느낌이 있다면 부수면 된다. 그런 시기니까…’라고…
굳이 따지자면 그래픽 계열의 카피라이터로서 살아온 내가 그 때 느끼고 있던 개운치 않은 느낌/이미 변하기 시작한 광고의 형태/그에 대한 부러움 등 여러 가지를 한꺼번에 날려버린 것이 ‘Disruption’이라는 단어였다.
나는 그 이후 ‘영역을 구분하지 않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내 슬로건으로 삼고, 다양한 도전을 할 수 있도록 회사의 허가를 받고, 기존에 없었던 종류의 프로젝트를 하면서 새로운 동료들을 많이 만날 수 있었다.
————————————————
[전설이 탄생하는 곳으로…]
로스앤젤레스의 TBWA/CHIAT/DAY는 TBWA의 글로벌 네트워크 중에서도 눈에 띄는 곳이다. 그 곳엔 스티브 잡스에게 상담을 해 주며 [1984]나 [Think Different]를 탄생시킨 전설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리 클라우가 있다.
내가 처음 칸 광고제에 갔던 1998년, 프레스 부문에서 그랑프리를 탔던 게 [Think Different]였는데, 표현적인 편에서도 대단했고, ‘애플의 부활’이라는 현상과 하나된 규모감에 후들거렸다.
15년 후, 그 작품이 탄생한 현장에 내가 가게 되리라곤 꿈에도 생각치 못했다. 도대체 그 크리에이티브 파워의 원천은 무엇일까? 조금이라도 많이 힌트를 찾아서 일본의 크리에이티브가 강해질 계기를 가지고 돌아오고 싶다.
로스앤젤레스의 하늘에 해적의 기가 휘날렸던 사무실에서 진행된 Disruption(파괴 활동)의 정신을 모두에게 전하고 싶다. 언어/연령/영역 등 다양한 벽을 부수고, 중요한 것을 캐치하고 싶다. 그래서 여행 가방을 되도록 가볍게 가져가기로 했다. 가지고 가는 것보다 가지고 오는 게 더 많을 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