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O 공동 CEO 톰 켈리에게 듣다 : 전편] 아이데오에서 배우는 조직의 창조성을 높이는 방법

HARVARD BIZ REVIEW, IDEO

IDEO共同経営者トム・ケリー氏に聞く(前編)

IDEOに学ぶ、組織の創造性を高める法

혁신 없이는 발전도 없다 – 이런 위기감이 격해지는 기업이 많다. 혁신의 원천인 개인의 창조성을 끌어내고, 조직 내에서 창조성을 높이기 위해선 어떤 매니지먼트가 유효할까?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회사’로 선정된 세계적인 디자인 컨설팅 회사 IDEO의 파트너, 톰 켈리에게 들어 보았다.

Tom Kelley http://www.ideo.com/people/tom-kelley
IDEO 파트너. 형인 데이비드와 함께 아이데오를 디자이너 15명으로 된 집단에서 사원이 600명인 회사로 성장시켰다. 실리콘밸리나 도쿄 등 세계 10곳에 지사가 있다. http://www.ideo.com/contact/
주요 저서로는 [ 발상하는 회사! / The Art of Innovation / 유쾌한 이노베이션(한국어) ], [ 이노베이션의 달인! / The Ten Faces of Innovation / 이노베이터의 10가지 얼굴(한국어) ] (둘 다 하야카와 서방(早川書房)에서 발행), [ 크리에이티브 마인드셋 / Creative Confidence / 유쾌한 크리에이티브(한국어) ] (닛케이BP사(日経BP社)가 있다.

[ ‘창조력에 대한 자신’을 가지려면? ]

// 저서인 ‘유쾌한 크리에이티브’ 중에서 인간은 원래 크리에이티브하며, ‘창조력에 대한 자신(Creative Confidence)’를 획득하면, 누구나 창조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IDEO는 모두 자신을 가지고 있는 건가요?

네, 아마도요. 실은 책을 집필하면서, 아이데오의 사원 100명 이상을 인터뷰했는데요, 한 명 만이 ‘입사했을 때는 아직 창조력에 대한 자신을 갖고 있지 않았다’고 답변했습니다. 그녀(‘질 레빈슨’이라는 사원입니다.)는 광고대행사에서 전직해왔는데요, 이전에 크리에이티브 관련 부서에 있었던 게 아닙니다. 하지만, 그런 그녀도 이제는 창조력에 대한 자신이 있다고 표명합니다.

// 자신감은 나중에 붙을 수도 있나요? 어떻게 해야 획득할 수 있을까요?

대단한 비결이 있는 건 아니지만, 질의 사례를 소개하겠습니다.

질은 “창조력에 대한 자신이 있는 사람은 ‘크리에이티브’하다고 불리는 테두리 안에 있는 일부 특별한 사람들 뿐”이라고 생각했고, 그렇기에 ‘자신은 크리에이티브하지 않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 질에게 IDEO가 자신감을 주었다…고 말하고 싶지만, 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질의 핀터레스트 팔로워를 폭발적으로 늘린  ‘피나타 쿠키’ 포스팅

질의 핀터레스트 팔로워를 폭발적으로 늘린 ‘피나타 쿠키’ 포스팅

그녀는 핀터레스트(패션이나 레시피, DIY 아이디어 등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수집/공유하는 SNS)에 포스팅하는 게 취미였는데요, ‘핀’이라고 불리는 사진을 여러 개 업로드했습니다. 처음엔 팔로워가 여자친구 6명이었지만, 그녀의 ‘핀’이 호평을 일으켜, 순식간에 100명, 1000명으로 늘었고, 어느 날을 기점으로 폭발적으로 늘었습니다. 그건 ‘피나타 쿠키’라는 아이디어를 공개했을 때였습니다. (피나타는 속에 과자나 장난감이 들어있는 인형이다.) 세 층으로 된 쿠키 한가운데 층에 작은 초콜렛을 채워넣고, 쪼개면 피냐타(주 : 아이들이 파티 때 눈을 가리고 막대기로 쳐서 넘어뜨리는, 장난감과 사탕이 가득 든 통) 같이 튀어 나옵니다.

이 핀으로 팔로워가 단숨에 10만 명을 돌파했고, 핀터레스트가 그렇게 인기가 급상승한 것에 주목하여, 질의 인터뷰를 자사 사이트에 올리자, 팔로워가 100만 명을 넘었습니다.
이렇게 되가 저희가 ‘전환(flipping)’이라고 부르는 현상이 질에게 일어났습니다. 즉 ‘나는 크리에이티브하지 않다’는 마음가짐이 ‘나는 크리에이티브하다’는 마음가짐으로 바뀐 것입니다.

질은 자신이 오리지널 레시피를 만드는 요리 연구가가 아니라는 점에서 0에서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기존 의미의 창조성’은 아닙니다. 그래서 자신을 크리에이티브하다고 생각하지 않았던 겁니다. 하지만 100명 명을 넘는 팔로워가 생기자, 자신이 컬렉터 혹은 큐레이터라는 ‘새로운 의미의 창조성’을 발휘하고 있다고 깨달았습니다. 그녀는 ‘크리에이티브한 사람들의 테두리’를 넓혀서 그 안에 들어갔습니다.

창의성의 범위는 시대에 따라 바뀐다.

창의성의 범위는 시대에 따라 바뀐다.

그러자 그녀의 행동이 변하기 시작했습니다. IDEO에서의 프로젝트를 즐기게 되었고, 큰 프로젝트나 어려운 프로젝트에도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굉장히 어렵고 크리에이티브한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창조력에 대한 자신은 ‘자신에게는 주위 세상을 바꿀 힘이 있다’는 개념을 가리킵니다. 자신의 창조력을 믿는 것이야말로, 혁신의 핵심을 이룹니다. 그건 젊은이들에게 한정되지 않습니다. 제 아내(일본 사람입니다.)의 숙부는 80세가 되시는데요, 직접 합창단을 설립하는 등 활동적이며, 창조성에 대한 자신감이 넘칩니다.

[ 조직이 개인의 창조성을 키울 수 있는가? ]

// 그래도 창조성으로는 세계에서 제일인 IDEO에 입사하면, 아무리 자신 있는 사람이라도 위축되지 않나요?

경쟁하는 걸 전제로 생각하니까 그렇게 여기는 게 아닐까요? 경쟁을 전제로 한 문화 중에는 서로 상대를 굴복시키려고 해서, 어떤 아이디어를 내도 ‘그런 사고 방식은 틀리다’고 비판적인 피드백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크리에이티브한 문화란 서로 도와주는 문화이며, 공동으로 창조하는 문화입니다.

IDEO에서는 비록 자신의 아이디어가 완벽하지 않아도, ‘재미있네, 그걸 이렇게 해 보면 어떨까?’, ‘이렇게 생각해 보면 더 재미있지 않을까’하고, 여러 사람들이 힌트를 줍니다. 그러면 아이디어는 조금씩 좋아지고, 몇 주 후에는 자신이 크리에이티브하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누구든지 도움을 주는 경험을 했기에, 자신도 타인을 서포트하려 합니다.

제가 책을 쓸 수 있었던 건 IDEO의 문화 덕분입니다. 이전의 저는 책을 쓸 자신이 전혀 없었지만, 동료에게 지지를 받으면서 첫번째 책인 [유쾌한 이노베이션]을 펴낼 수 있었습니다. 또한 45살까지 한번도 강연을 한적이 없는데, IDEO의 서포트를 얻어, 이미 연간 40회 이상, 총 500회 이상 강연을 했습니다. 이것도 처음에 등을 떠밀어주었기에 가능했습니다.

// 서로 돕는 문화는 어떻게 탄생시킬 수 있나요?

특별한 방법이 있는 건 아니지만, 상사와 부하를 예로 생각해 보죠. 만약 상사가 부하의 아이디어에 대해 매번 ‘네 아이디어는 완벽하지 않아. 더 제대로 된 걸 가져와.’라고 하고, 부하의 기를 죽이고, 자신감을 잃게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부하는 아이디어를 완벽하게 하는 데에만 힘을 쏟고, 막 떠오른 아이디어나 완성되지 않은 아이디어를 상사에게 보여주지 않게 됩니다. 혹은 상사가 두려워서 아이디어를 보여주는 것 자체를 포기해버릴 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상사가 부하가 가지고 온 완성되지 않은 아이디어에 대해 표면적이고 디테일한 부분은 제쳐두고, 눈을 가늘게 뜨고 그 아이디어의 핵심이 되는 본질적인 부분을 가려냅니다. 그리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주면 그 부하는 창조성을 발휘하고 아이디어를 갈고 닦게 됩니다.

아무리 서툰 아이디어더라도, 어떻게 하면 더 좋게 할지, 실현할 수 있을지, 조언을 해 주세요. 그러면 그 매니저는 아이디어를 인정해준다고 생각하게 되고, 부하들로부터 완벽하지 않아도 신선한 아이디어를 여러 개 모을 겁니다.

신선한 아이디어를 여러 개 눈 앞에 두면, 사람들은 보다 영리해집니다. 많은 아이디어를 모은 매니저는 사내에서 가장 영리하고 크리에이티브한 매니저가 되겠죠. 동시에 조직 내에 참신하고 신선한 ㅇ이디어를 재빨리 내는 문화를 조성할 수 있습니다.

창조력에 대한 자신감은 혼자서도 얻을 수 있지만, 서로 돕는 문화가 있는 인적 네트워크 속에 있는 게 더 효과적입니다. 앞에서 예로 들었던 질의 경우는 IDEO가 직접 뭔가를 시킨 건 아니었지만, 개인적인 장에서 얻은 자신감이 프로젝트에서의 자신감으로 연결되었고 점점 IDEO에서 주위의 지지를 얻을 수 있었던 거 같습니다.


※ 이 블로그의 글을 받아보시고 싶으시다면, 페이스북 혹은 트위터를 팔로우하시거나 RSS를 구독해 주세요.

Posted by

강은진 / 姜恩珍 / Content Specialist - 지구에 3%뿐인 4개 국어(한/일/영/중) 구사자(Polyglot) - 마케팅하던 덕후